자료실
연구자료
관련기사

관련기사|

한자를 초등생부터 가르치자 - 중앙선데이 2013.02.24.|


한자를 초등생부터 가르치자


중앙SUNDAY 로버트 파우저 서울대 국어교육과 교수 2013.02.24.





 말 광화문 편액을 한자인 ‘光化門’으로 쓰기로 결정하면서 한국어와 한자 표기에 대한 끝없는 논쟁이 다시 뜨거워졌다. 한자 표기를 지지하는 논리는 문화재의 정통성을 지켜야 된다는 것인 반면, 한글 표기를 지지하는 논리는 한국의 고유 문자인 한글을 섬겨야 한다는 것이다. 이 논쟁은 19세기 말부터 지금까지 계속되면서 정치적 분위기에 따라 한글·한자 겸용 정책에서 한글 전용 정책을 오갔다. 오래된 논쟁인 만큼 각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리가 설득력이 있기 때문에 논쟁의 생명력은 강하다.

한국어 문자 표기 논쟁은 언어학의 문자론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문자론이라는 것은 언어학의 하위 분야로, 세계의 다양한 문자 및 언어 안에서 그 문자의 활용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다. 19세기에는 문자론을 연구하는 학자가 많았지만, 20세기 중반부터 조금씩 퇴조해 지금은 연구자가 적은 게 현실이다.

문자론 관점에서 보면 한국어엔 흥미 있는 측면이 있다. 첫째, 한국어는 찾기 어려운 자기 언어를 위해 개발한 문자를 보유하고 있다. 많은 언어는 다른 거대 문명에서 문자를 빌려오거나 빌려온 문자를 파생적으로 발달시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영어의 알파벳은 그리스 문자에서 파생한 로마제국의 언어인 라틴어의 문자이며, 그 알파벳은 유럽의 많은 언어에서 활용됐다. 또 일본어의 가나 문자는 중국의 문자인 한자에서 파생된 것이다. 그러나 한글은 다른 언어에서 찾을 수 없는 독특한 문자이며 한국어의 발음을 잘 반영해 한국인에게 큰 자부심을 안겨준다.

둘째로 흥미 있는 것은 한국에서 한글과 한자 두 문자를 모두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은 세 가지 문자인 히라가나·가타카나·한자를 인정한다. 두 문자 이상을 인정하며 사용하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밖에 없다. 다른 언어들은 모두 다 한 가지 문자만 사용한다. 물론 오늘날 한국은 사실상 한글 전용이지만 학교에서 한자를 가르치며 사회에서도 한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북한은 강력한 한글 전용 정책을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학교에서 교양으로 한자를 가르치지만 사회에서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보면 한국어 문자 표기를 둘러싼 논쟁이 조금 더 선명하게 보인다. 한글은 민족적 자부심의 상징이지만 한국 문화에 영향을 많이 미친 중국 문명과 19세기 이전의 역사와는 단절돼 있다. 반면 한자는 중국 문명과 역사를 존중하는 상징이지만 한국의 고유한 것은 아니다.

역사의 흐름에 따라 시대적인 요구는 달라진다. 20세기의 한국은 일제시대와 한국전쟁 등 힘든 시기를 겪었다. 따라서 아픈 역사와 단절이 필요했고 강한 민족적 자부심을 심어줄 필요가 생겼다. 이런 시대적 요구를 한글 전용 정책이 채운 것이다. 그러나 20세기 말에 와서는 경제가 발전하고 민주화가 이뤄졌으며 시대적 요구도 달라졌다. 지금은 열린 자세로 문화적 교류를 하면서 동시에 자국에 대해 깊이 이해하는 것이 요구되는 시대가 됐다.

그렇다면 더더욱 한국어 문자에서 한자의 존재를 빼낼 이유가 없다. 한자는 한국 문화에 영향을 많이 미친 중국 문명과의 가교로써 깊은 교양을 담은 문자다. 동시에 경제적, 인적 교류가 많은 일본과도 가교가 될 수 있다. 한글을 우선하면서 한자의 가치를 인정하고 어문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첫걸음은 초등학교부터 국어 시간에 한자 교육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사실 건국 이후 1970년대 초까지 국어 시간에 한자를 가르친 선례가 있어서 무리한 제안은 아니다. 한자가 배우기 어려운 문자인 만큼 일찍 시작할수록 학습 효과가 높아진다. 또 21세기가 요구하는 열린 태도를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끝).


댓글 0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수 작성일
300 [Why] 90세 유치원 선생님 "사랑을 주면 줄수록 아이는 빛나요" 어문정책관리자 2453 2016.02.03
299 한자 개념이해 소통형 강의 ‘명교수’, 한글세계화·재능기부 앞장 -.. 어문정책관리자 2455 2013.12.31
298 [시론] ‘한자교육 활성화’ 오해와 진실 어문정책관리자 2456 2015.07.10
297 영어는 OK, 한자는 불가(不可)? 어문정책관리자 2456 2015.06.11
296 “한문은 서양 라틴어에 비견되는 표현수단” 어문정책관리자 2457 2015.07.30
295 한자 많이 알아도 활용 못할 때 어문정책관리자 2457 2014.03.04
294 [말이 세상을 바꿉니다]<4>알 권리 막는 공공언어 어문정책관리자 2457 2014.07.11
293 漢字 가르쳐 자식농사 성공했죠 어문정책관리자 2458 2014.06.17
한자를 초등생부터 가르치자 - 중앙선데이 2013.02.24. 어문정책관리자 2459 2013.12.31
291 든든한 조언자로 늘 함께… 열심인 아이 곁엔 더 성실한 엄마가 있었다 어문정책관리자 2460 2014.11.03
290 [기고/진태하]한자와 한글, 함께 써야 빛나는 ‘새의 두 날개’ 어문정책관리자 2462 2014.09.30
289 초등 3학년부턴 교과서에 한자 병기 어문정책관리자 2462 2014.09.25
288 [이슈&논쟁]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어문정책관리자 2464 2015.01.07
287 每日新聞 독자위원회 "조간 전환 독자 의견도 실어줬으면" 어문정책관리자 2467 2014.11.06
286 조순 "내각제·다당제 채택하고 한자교육 도입해야" 어문정책관리자 2467 2014.07.10
285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찬반 논란 재점화 어문정책관리자 2469 2015.03.20
284 비상교육,30일까지 초등교과서 한자병기 설문조사 어문정책관리자 2469 2015.04.09
283 “한자교육, 한글사랑 첫걸음” 어문정책관리자 2470 2015.04.29
282 [동아쟁론]초등교과서 漢字 병기 부활 어문정책관리자 2470 2015.06.19
281 [발언대] 漢字 박물관도 필요하다 어문정책관리자 2472 2014.10.02
후원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사)한국어문회 한자교육국민운동연합 (사)전통문화연구회 l 사무주관 : (사)전통문화연구회
CopyRight Since 2013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All Rights Reserved.
110-707. 서울 종로구 낙원동 284-6 낙원빌딩 507호 (전통문화연구회 사무실 내) l 전화 : 02)762.8401 l 전송 : 02)747-0083 l 전자우편 : juntong@juntong.or.kr

CopyRight Since 2001-2011 WEBARTY.COM All Rights RESERVED. / Skin By Webarty